곧 출시 예정인 퀄컴(Qualcomm)의 새로운 스냅드래곤 8 엘리트(Snapdragon 8 Elite)는 미래의 안드로이드 휴대폰을 위한 혁신적인 칩셋으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핵심으로 초광대역(UWB) 기술을 지원하여 새로운 혁신을 이끌 것으로 보입니다.
스냅드래곤 8 엘리트는 강력한 하드웨어와 혁신적인 업그레이드로 가득한 칩셋 입니다. 이러한 업그레이드 중 하나는 연결성 부문으로, 퀄컴은 플래그십 칩에 UWB을 표준으로 채택했습니다. 퀄컴에서 지난 2월에 재정의 했던 패스트커넥트(FastConnect) 7900 연결 플랫폼은 AI를 활용해 고성능, 저지연 및 저전력 연결성에 대한 기준으로 UWB를 제조업체가 추가할 수 있도록 남겨두지 않고 칩에 직접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였습니다.
UWB는 안드로이드 13 부터 무선기술을 위한 기본 프레임워크에 포함된 기술로 높은 주파수에서 낮은 전력소비로 작동하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의미합니다. 아직까지 널리 사용되지 않지만, 조만간 안드로이드 휴대폰에서 Google 월렛, 디지털 자동차 키와 같은 근거리 작업에는 사용할 수 있으며, 내 디바이스 찾기 트래커와도 연동될 수 있습니다.
스냅드래곤 8 엘리트에 UWB가 직접 추가됨에 따라 향후에는 적어도 퀄컴의 플래그십 칩이 탑재된 안드로이드 기기를 통해 더 광범위한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론상으로는 삼성의 내년 모델인 갤럭시 S25 및 플립 7 시리즈에 이 기술이 탑재될 수 있다는 의미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안드로이드 휴대폰 제조업체가 스냅드래곤 8 엘리트와 UWB 기술을 전체적으로 어떻게 지원할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가성비가 좋은 미디어텍(MediaTek)의 최신 플래그십 디멘시티(Dimensity) 9400 칩셋이 더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디멘시티 9400은 성능에서 스냅드래곤 8 엘리트의 경쟁사가 아님을 아래 벤치마크 결과로 알 수 있습니다.
최근 벤치마크에서 스냅드래곤 8 엘리트는 6.9W의 전력 소모로 A18 Pro에 대비 근소한 차이로 뒤쳐지는 결과도 나왔습니다. TSMC의 3nm 'N3E' 노드에서 두 칩셋이 모두 대량 생산되기 때문에 이론상 유사한 전력 소모를 보여야 합니다. 전력 소모 차이가 4.5%라는 점은 오차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휴대폰에서 테스트할 경우 스냅드래곤 8 엘리트와 A18 Pro가 동일한 전력 소모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참조 설계가 스냅드래곤 8 엘리트의 성능 코어를 최대 클록 4.32GHz로 실행한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연히 더 높은 전력 소모로 이어질 것입니다. 이전 벤치마크 결과에서 Galaxy S25 Ultra의 점수가 유출되었을 때 Oryon 코어가 4.20GHz로 테스트되었다는 것을 확인 했으므로 주파수를 낮출 때의 전력 소모를 보는 것이 흥미로울 것입니다. 다행스럽게도 이 데이터는 공식적인 데이터가 아니며, 정식으로 출시 된 후 클록 속도를 낮추면 스냅드래곤 8 엘리트의 '와트당 성능' 지표도 개선될 수 있을지 않을까 합니다.
※ 기사 내용 참조
[9TO5Google] Snapdragon 8 Elite may bring UWB to a lot more Android phones | By Ben Schoon | Oct 22 2024 - 6:55 am PT | https://9to5google.com/2024/10/22/snapdragon-8-elite-may-bring-uwb-to-a-lot-more-android-phones/
[WCCF TECH] A18 Pro Offers The Best ‘Performance Per Watt’ Metric In Single-Core Results, As Snapdragon 8 Elite Fails To Beat Its Newest Rival In One Particular Test | By Omar Sohail | Oct 22, 2024 04:55 PM EDT | https://wccftech.com/a18-pro-best-performance-per-watt-in-single-core-results-beats-snapdragon-8-elite/
웨어러블서치
기술이 어디를 향하고 개인과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합니다.
pf.kakao.com
구글, 웹브라우저용 AI 비서 '자비스(Jarvis)' 개발 중 (8) | 2024.10.28 |
---|---|
유럽 아이폰 사용자 iOS 18.2에서 기본 설치된 앱 삭제 가능?! (1) | 2024.10.24 |
Daze, 해외 Z세대에 난리난 메세징 앱 11월 4일 출시 (3) | 2024.10.22 |
Adobe, 3D 이미지를 만들고 산만함을 사라지는 새로운 AI 도구 (1) | 2024.10.21 |
구글 NotebookLM, 새로운 AI 음성 개요 기능 추가 (2) | 2024.10.19 |
댓글 영역